전세 계약은 많은 돈이 오가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하지만 일부 사기꾼들은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전세 사기를 벌이기도 합니다. 특히 초보자는 쉽게 속을 수 있기 때문에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세 사기를 피하기 위해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목차
- 1. 등기부등본 확인하기
- 2.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할 서류
- 3. 계약금은 반드시 집주인 계좌로
- 4.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기
- 5. 부동산 중개업자 및 공인중개사 확인
- 6. 시세보다 저렴한 매물은 의심하기
- 7. 집 상태 점검 및 하자 체크
- 📌 이 글의 핵심 요약
1. 등기부등본 확인하기
등기부등본은 해당 부동산의 법적 상태를 나타내는 문서입니다. 계약 전 반드시 열람하여 소유자가 맞는지, 대출이나 가압류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 등기부등본은 정부24 사이트에서 무료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소유자가 실제 계약 상대방인지 확인하세요.
- 근저당(대출) 설정이 많다면 계약을 신중하게 검토하세요.
2.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할 서류
계약을 진행하기 전 다음 서류들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등기부등본: 부동산 소유권 확인
- 건축물대장: 건물의 구조 및 불법 증축 여부 확인
- 전세권 설정 여부: 기존 세입자의 보증금 반환 여부 체크
3. 계약금은 반드시 집주인 계좌로
계약금을 보낼 때는 반드시 등기부등본상의 소유자 명의 계좌로 입금하세요. 중개업자나 다른 명의의 계좌로 보내면 사기 위험이 높아집니다.
4.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기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있는 필수 절차입니다.
- 전입신고는 계약 후 즉시 진행하세요.
- 확정일자는 주민센터에서 받을 수 있으며, 보증금 반환 우선권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5. 부동산 중개업자 및 공인중개사 확인
공인중개사가 등록된 곳인지 확인하고, 중개사무소 등록증과 공제증서를 확인하세요.
- 국토교통부 공인중개사 검색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 공제증서가 없는 중개사는 피하세요.
6. 시세보다 저렴한 매물은 의심하기
정상적인 시세보다 지나치게 저렴한 전세 매물은 사기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 동일 지역 전세 시세를 비교하세요.
- 지나치게 낮은 가격의 이유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7. 집 상태 점검 및 하자 체크
계약 전 집 내부 상태를 꼼꼼히 점검하고 하자 사항을 사진으로 남겨두세요.
- 벽 균열, 누수, 곰팡이 등 점검
- 가전, 수도, 전기 설비 작동 확인
📌 이 글의 핵심 요약
- 등기부등본을 반드시 확인하고 근저당 설정 여부를 체크
- 계약 전 필수 서류(건축물대장, 전세권 설정 등) 확인
- 계약금은 반드시 집주인 계좌로 송금
-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빠르게 진행하여 보증금을 보호
- 중개업자 및 공인중개사 등록 여부를 확인
- 시세보다 저렴한 매물은 의심하고 이유를 확인
- 집 내부 상태를 꼼꼼하게 점검하고 사진으로 기록
'부동산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부동산 투자자를 위한 필독서 3권 추천 (0) | 2025.03.24 |
---|---|
부동산 투자 수익률 계산법 -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방법 (0) | 2025.02.06 |
부동산 투자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3가지 (0) | 2025.02.04 |
부동산 계약 시 필수 체크리스트 10가지 (0) | 2025.02.04 |
부동산 초보자를 위한 필수 기초 개념 (0) | 2025.02.04 |